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243)
3.[stm32f103][hal] GPIO 입출력 1. 설명 처음 ARM을 배울때만해도 HAL 이라는 개념이 없이 Struct을 통해서 설정을 일일이 다 했습니다.~ 하지만 HAL 드라이버가 나옴으로써 그럴 필요가 없어지고 간편해진거 같습니다.. HAL 드라이버를 쓰기 위해서는 CUBE를 통해서 다운로드를 자동으로 지원해주고 있어서 너무 편해요~ 2. CUBE 실행 하기 해당하는 MCU를 선택한 다음에 START Project를 누르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시작 됩니다. 저같은 경우는 stm32f103vct6 이라서 stm32f103vctx를 선택했습니다. 3. 입출력 설정하기 이것 같은 경우도 조심해야될게 저같은 경우는 st-link/v2를 써서 디버깅을 합니다. 이경우 sys 부분을 설정 하지 않으면 "Fatal error: ST-LINK, No MC..
2. [stm32f103] 시작하기-stm32 Dragon 1. 보드 준비 http://www.jkelec.co.kr/product3_1.php 사양 1. MCU - STM32F103VCT6 2. 회로도
1. [stm32f103] STM32CUBE 설치 1. 다운로드 주소 http://www.st.com/content/st_com/en/products/development-tools/software-development-tools/stm32-software-development-tools/stm32-configurators-and-code-generators/stm32cubemx.html 2. 3. en.stm32cubemx.zip 압축풀고 설치~ 4.
ms9710C_labview 1. 데이터 시트https://dl.cdn-anritsu.com/en-au/test-measurement/files/Manuals/Operation-Manual/MS9710C_W1580AE_remote_opm_e_4_0.pdf ANRITSU 사의 OSA 인 ms9710c 드라이버입니다. 2. labview driver 사용방법 : 이것도 안되는점이 잇으면 문의~
Ke24xx_Labview(ke2400) http://sine.ni.com/apps/utf8/niid_web_display.download_page?p_id_guid=25B255F3AA83660EE0440003BA7CCD71 Keithley 사의 24xx 시리즈 랩뷰 드라이버 입니다.저는 주로 2400 위주로 쓰고 있어요~~ 사용 방법 : ......그냥 쓰면되는데요....안되는 점이 있으면 문의해주세요
히오스_마우스_요로마우스(YoloMouse) https://pandateemo.github.io/YoloMouse/ 이곳이 홈페이지 주소~~ 다운로드 사용 방법위에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 하시고 게임에 들어가시고나서 아래 단축키를 누루시면됨 1. 컨트롤 + 시프트 + 알트 + 0~9 [ 커서모양 바뀜 ]2. 컨트롤 + 시프트 + 알트 + - [ 커서 작아짐 ]3. 컨트롤 + 시프트 + 알트 + = [ 커서 커짐 ]
5.MPU6050 연결 및 테스트 1. 연결~아두이노 MPU-6050 VCC------------------GND-----------------SCL------------------SDA----------------- VCC GND32 2. 기본 설명 기본적으로 MPU6050에 연결 해야할 전압은 2.3~3.4 입니다.그런데 아두이노에 연결되는 전압은 5V 이지만 MPU6050 에서 빨간 동그라미 부분이 5->3.3V로 바꾸는 역활을 합니다.또한 핀 9에 AD0가 0이면 1101000(0x68) 인 주소 값이 되고 1이면 1101001(0x69) 이 됩니다~저는 0x68 주소 값으로 진행하게 될겁입니다. 3. 간단한 통신 확인 소스 간단한 예제는 아두이노 홈페이지 가면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.https://playground.arduin..
4. 드론 어플 연결 msp (Multiwii Serial Protocol) 1. MSP((Multiwii Serial Protocol)) 설명 시작 문자 $를 시작하여 멀티위를 나타내는 M을 보내고 송수신을 나타내는() 보낸다음 전송되는 Byte 수를 전송하고 타입을 보내고 데이터(Roll,Pitch,Yaw,Throttole,Aux)를 보내고 CRC(사이즈부터 시작하여 데이터까지를 XOR)를 보냅니다. 2. 전송확인void setup() { Serial1.begin(115200); Serial.begin(115200); } void loop() { if(Serial1.available()){ Serial.write(Serial1.read()); }} 3. 분석하기 void setup() { Serial.begin(115200); //드론 -> 어플 Serial1.begin(11..